제목 | 2025년 3분기 울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 | |||||||||||||||||||||||||||||||||||||||||||||||||||||||||||||||||||||||||||||||||||||||||||||||||||||||||||
---|---|---|---|---|---|---|---|---|---|---|---|---|---|---|---|---|---|---|---|---|---|---|---|---|---|---|---|---|---|---|---|---|---|---|---|---|---|---|---|---|---|---|---|---|---|---|---|---|---|---|---|---|---|---|---|---|---|---|---|---|---|---|---|---|---|---|---|---|---|---|---|---|---|---|---|---|---|---|---|---|---|---|---|---|---|---|---|---|---|---|---|---|---|---|---|---|---|---|---|---|---|---|---|---|---|---|---|---|
작성자 | 경제조사팀 | 작성일 | 2025.07.14 | |||||||||||||||||||||||||||||||||||||||||||||||||||||||||||||||||||||||||||||||||||||||||||||||||||||||||
2025년 3분기 울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 - 악재와 호재의 혼재 속 전반적인 내수 부진 흐름 지속 -
- 울산상의 소매유통업경기전망지수(RBSI) “84” - 2025년 2/4분기 전망치 : 48 → 25년 3/4분기 전망치 : 84 - 업태별 : 백화점(40), 대형마트(100), 편의점(107), 슈퍼마켓(89) - 경영 및 실적 영향 요인 - 소비심리 회복 지연(43.6%), 트럼프 정부 정책 불확실성(15.4%), 중국 전자상거래 국내시장 영향력 확대(15.4%), 비용 부담 증가(12.8%) 순
울산상공회의소(회장 이윤철)가 관내 39개 표본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3/4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조사 결과, 전망치가 84로 집계됐다. 최근 3분기(88→82→48) 연속 하락세를 이어오던 흐름을 멈추고 반등했으나, 2022년 2분기(110)을 기록한 이후 3년째 기준치(100)를 넘지 못하면서 전반적인 내수 부진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업태별로는 백화점(50→40), 대형마트(40→100), 편의점(60→107), 슈퍼마켓(44→89)으로 업태별 경기 전망에 대한 희비가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선 가운데, 조선업을 제외한 지역 주력산업 부진과 건설 경기 침체가 내수 부진 장기화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소비의 역외 유출 역시 소매유통업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백화점(40)의 경우, 상품 및 브랜드 다양성 부재와 지역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작년 울산의 백화점 3사(현대백화점 울산점동구점, 롯데백화점 울산점) 매출액은 전년 대비 일제히 감소했으며, 특히 현대백화점 1호점이자 울산 최초의 백화점인 현대백화점 동구점은 조선업 호황에도 불구하고 2024년 전국 백화점 매출 순위 최하위(798억원)를 기록해 지난 6월부로 울산점의 분점으로 통합되는 등 지역 백화점의 경쟁력 약화가 심화되고 있다.
반면, 대형마트(100)와 편의점(107)의 경우 긍정적 전망을 보였다. 대형마트는 지난 분기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등으로 인해 급감했던 경기 전망에 대한 기저효과와 휴가철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며, 편의점의 경우에는 정부의 소비 쿠폰 지급, 지역화폐 지원 확산 등의 정책과 맞물려 자영업자가 대부분인 업계에 긍정적 신호를 준 것으로 분석된다.
슈퍼마켓(89) 역시 정부의 재정 확대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 분기(44) 대비 두 배 이상 지수 상승을 보였으나, 최근 대형마트, 편의점과의 경쟁에서 밀리며 여전히 기준치(100)를 하회해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영 및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묻는 질문에 43.6%가 ‘소비심리 회복 지연(고금리 및 고물가 지속 등)’으로 응답했다. 이어 15.4%가 ‘트럼프 정부 정책 불확실성(관세부과, FTA 재협상 등)’, ‘중국 전자상거래(알리, 테무 등) 국내시장 영향력 확대’를 각각 꼽았으며, 12.8%가 ‘비용 부담 증가(인건비, 금융, 물류비, 전기비 등)’로 답했다.
또한, 새 정부에 바라는 정책(중복 응답)에 대해 ‘대·중소 유통 상생 협력 촉진’(41.0%), ‘유통 규제 완화’(38.5%), ‘중소유통 경쟁력 강화’(35.9%)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울산상의 관계자는 “민생회복지원금 지급과 같은 새 정부의 내수 진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지난 분기 대비 지수가 두 배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며, “실제 지원금 지급 시 단기적인 내수 진작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가 여전히 기준치(100) 미만인 점과 이러한 흐름이 2022년 3분기 이후 3년째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일시적인 반등 후 내수 부진 장기화 추세가 계속될 가능성도 있다”며 “단기적인 내수 진작 정책뿐만 아니라 유통업계 전반의 과감한 혁신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규제 완화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 Retail Business Survey Index)는 유통업체들의 현장 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지수가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이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 지수추이>
<소매유통업태별 경기전망 지수추이>
|
▲ | 울산상의, 산대특 용접 훈련생 대상 HD현대중공업 현장체험 실시 |
---|---|
‒ | 2025년 3분기 울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 |
▼ | 울산상의, 2025년 1기분 부가가치세 확정 신고·납부 실무교육 개최 |
(우)44689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97 (신정동) 울산상공회의소
대표전화 : Tel.052-228-3000, Fax.052-711-1234 문의 : ulsan@korcham.net
Copyright (c) 2017 ulsan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