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울산상공회의소

울산상의보도자료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고려아연 관련 울산상공회의소 성명서
작성자 기획홍보팀 작성일 2024.09.19


국가 기간산업에 대한 적대적 M&A 막아야

<고려아연 관련 울산상공회의소 성명서>

 

 

울산상공회의소는 최근 고려아연에 대한 사모펀드의 적대적 M&A 시도에 유감을 표하며, 국가기간산업 보호를 위해 정부가 적극 개입해 줄 것을 촉구한다.

 

고려아연은 지난 반세기 동안 축적해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비철금속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도시 울산을 선도해 온 자랑스러운 기업이다. 아연, , 은 등의 제련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차전지 핵심 소재(니켈, 전구체) 독자기술을 보유한 국가기간산업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고려아연 경영권 탈취를 위한 주식 공개매수에 나선 것은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

 

사모펀드의 본질적 목표인 단기간 고수익 달성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 축소, 핵심인력 유출, 나아가 해외 매각 등이 시도될 수 있으며, 기술 유출 및 이차전지 분야의 해외 공급망 구축이 와해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기업의 핵심 경쟁력 약화는 물론 울산의 산업 생태계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다.

 

이에 울산상공회의소는 정부가 국가 기간산업 보호를 위해 사모펀드의 적대적 M&A를 막기 위한 역할을 해줄 것을 요구한다.

 

시장경제 체제에서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국가 핵심산업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전략적이고 제한적인 개입은 필요하다고 본다. 이는 단순히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지역경제, 나아가 국가경제에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실제,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일본제철이 US스틸을 인수하려 할 때 미국 정치권이 초당적으로 저지했고, 호주가 중국계 기업의 리튬 광산 인수를 막은 사례처럼, 우리 정부도 국가 기간산업의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울산 상공계는 지난 2003SK가 외국계 헤지펀드 소버린자산운용과 경영권 분쟁에 휩싸였을 당시, '울산시민 SK 주식 1주 갖기 운동을 범시민적으로 펼쳐 SK를 지킨 경험을 갖고 있다.

 

울산상공회의소는 지난 반세기 동안 울산시민의 땀과 애정이 녹아 있는 지역의 향토기업인 고려아연을 지켜내기 위해 고려아연 주식 갖기 운동 등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다.

 

 

2024. 9. 19

 

울산지역 상공계 일동

 

 

울산상공회의소

(우)44689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97 (신정동) 울산상공회의소

Copyright (c) 2017 ulsancci, All Right Reserved.